이용안내
임상사목 교육과정
교육훈련목표(Learning Objectives) 설정하기
임상사목교육은 학생 각자가 스스로 교육훈련을 해야 하는 만큼 프로그램이 시작되기 전 혹은 시작하면서 프로그램 기간 동안 무엇을 배우고 스스로를 교육, 훈련시킬 것인가를 정해야 합니다. 이것은 프로그램을 해 나가는 동안 Supervisor의 지도도 첨가될 수도 있고 바뀔 수도 있습니다.
주말사목성찰기(Weekly Reflection Paper)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 각자는 한 주간 동안 사목을 하면서 혹은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일어났던 사건이나 개인적인 이슈들을 자신의 교육훈련목표들과 연관 지어 성찰 기록을 하면서 배우게 됩니다. 그리고 이것은 프로그램 기간 동안에 자신의 교육훈련목표들을 성취하는 데 있어서 자기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를 볼 수 있게 하는 나침반의 역할을 합니다.
그룹 관계 세미나(Group Relations Seminar)
그룹관계세미나는 그룹을 형성하는 학생들에게 그룹 안에서 서로 마음을 열기를 요구합니다. 이 세미나 동안에 학생들은 프로그램 안에서 도전받는 개인적이거나 혹은 사목적인 배움을 위한 내용을 가지고 서로 나누고, 조언을 주고 받으며, 때에 따라서는 서로 도전을 하게 됩니다. 이 세미나를 이끌어가는 사람은 Supervisor가 아니라 참여하는 학생들 각자가 되는 것입니다. 사목자는 개인뿐만 아니라 그룹을 이끌어가는 지도자로서의 역량을 갖추어야 하며 이 그룹관계세미나는 그것을 위해서 좋은 배움의 터가 될 것입니다.
Case Study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Case Study 시간 동안에 각자의 일정표대로 사목 방문한 것에 대해서 Case Study 양식에 따라 발표를 합니다. 발표하는 학생은 사목 방문에 대해 동료들과 Supervisor의 비평과 조언(Group Supervision)을 받으면서 사목을 위한 기술과 역량을 길러내며, Case Study에서 드러나는 자신에 대한 자각을 통해서 좀 더 나은 사목 자가 되어갑니다.
신학적-심리적 고찰 세미나
학생들이 작성한 Case Study는 사목 자와 환자 사이에 일어났던 과거 사건에 대한 기록일 뿐만 아니라 그룹에서 발표될 때도 다시 한번 더 일어나는 사건인 것입니다. 학생들은 이 시간을 통해서 각자가 발표한 Case를 제삼자 입장에서 바라보게 되며 그것을 통해서 다양한 신학적-심리적 고찰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개별지도(Individual Supervision)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학생들은 개인 지도(Individual Supervision)시간을 통해서 각자의 교육훈련목표(Learning Objectives)와 관련된 여러 가지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서 Supervisor로부터 도움과 지도를 받거나 때에 따라서는 도전도 받게 되며 그것들을 통해서 학생들은 많은 것을 배우게 됩니다. 개인지도(Individual Supervision)시간에 학생들은 스스로 도움과 지도를 받고 싶은 문제들(Case Study, 사목을 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 개인적이거나 혹은 전문적인 문제점들, 그룹동료들과의 관계, 혹은 프로그램과 관련된 사적인 문제 등)을 가져와야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Supervisor가 지도를 받는 학생이 스스로 인식을 못하거나 혹은 피하고 싶어하는 문제들에 대해서 도전을 하게 됩니다. 개인지도(Individual Supervision)는 학생들에게 그들의 교육훈련목표들(Learning Objectives)의 성취와 전문적인 사목자로서의 자질을 갖기 위한 좀 더 광범위하고 구체적인 배움의 시간을 제공합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적어도 2주일에 한번은 Supervisor와 개인지도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권장합니다.
가계도식(Genogram)
학생 각자는 자신을 중심으로 한 가족 구성원들(친가, 외가를 포함한 위로 3대까지)의 도식을 그리고 그 안에서 태어나고 성장했던 자신과 가족들과의 관계 혹은 가족들 상호간의 관계를 그룹동료들 앞에서 설명하거나 나누며 그들로부터 구체적인 질문을 받습니다. 발표하는 학생은 스스로의 나눔과 동료들의 질문에 대해 대답을 함으로써 새로운 자신에 대해 배우게 되고 더 나아가서는 자신이 사목하는 사람들의 가족관계에서 드러나는 문제점들을 더 많이 이해하고 사목하는데 도움을 받게 됩니다.
상실감(Loss)성찰기
학 생 각자가 인생을 살아오면서 경험했던 사랑하던 부모님, 형제, 또는 친구의 죽음에 대한 슬펐던 이야기들 혹은 본인에게 특별히 소중했던 물건을 잃어버렸던 가슴 아픈 기억들을 회상하면서 수필을 적어봅니다. 그리고 그것을 그룹 안에서 나눔으로써 그때 그 기억들을 재조명하며 그것을 통해서 각자가 사목하는 환자나 그가족들의 상실감을 더욱 더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습니다.
강의(Didactic)
임상사목교육은 이론과 실습을 겸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이므로 임상과 사목분야 및 인간의 영혼을 돌보기 위한 모든 분야의 기본적인 지식을 필요로 합니다. 프로그램에 참석한 학생들은 일정표에 나와 있는 강의(Didactic)를 듣게 될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 학생들이 직접 강의를 준비하거나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한 강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시청각 교육도 있을 수 있습니다.
서적/기사 비평기
프로그램이 선정한 임상사목과 관련된 서적이나 혹은 개인이 관심을 가지는 임상사목과 관련된 기사를 읽은 후 그 서적이나 기사가 제시하는 주요한 요점이나 논쟁점이 무엇이며, 그것에 대한 학생 각자의 의견은 무엇인지를 적어서 제출합니다. 이것을 통해 학생 각자는 임상사목과 관련된 지식을 습득함과 동시에 비평을 통한 자신감을 갖게 됩니다.
평가서(Evaluation)작성과 발표
임상사목 교육(C.P.E.)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 스스로의 교육훈련이므로 학생 각자는 프로그램을 하는 동안에 자신이 세웠던 교육훈련목표들을 얼마만큼 성취를 했으며 그리고 그 안에서 알게 되었고 발견하게 되었던 자기 자신에 대해서 다시 한번 정리하는 시간을 가지게 됩니다. 학생들 각자는 작성된 평가서를 그룹 안에서 발표하게 되며 동료들의 비평과 질문에 응답하면서 다른 새로운 것들을 배우게 됩니다.
Supervisor의 평가서(Evaluation)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모든 조건들을 끝낸 학생은 Supervisor로부터 마지막 평가서(Final Evaluation)를 받게 됩니다. 이 평가서는 학생들이 제출한 주말사목성찰기(Weekly Reflection Paper)를 토대로 Supervisor가 보아왔던 프로그램 안에서의 학생들의 “배움의 과정”을 내용으로 합니다. 다시 말하면, Supervisor의 마지막 평가서(Final Evaluation)는 다른 일반 대학교의 “A 혹은 B 학점”이 아니라 “좀 더 나은 사목자가 되기 위해 끊임없이 자기 자신에 대해 이러한 점을 배워 나가십시오”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입니다. 이 평가서(Evaluation)는 본인의 평가서(Evaluation)와 함께 다음 프로그램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는 중요한 자료가 되므로 잘 보관해야 합니다. Supervisor가 보관하는 사본은 본인의 허락이 없으면 어느 누가 요청을 해도 보여주지 않습니다.